지금까지 토큰캔 블로그와 SNS에는 수많은 컨텐츠와 정보들이 업로드되었다.
하지만, 가상자산이나 거래소를 처음 접하는 분들한테는 다소 어려운 용어나 내용들이 있어 오늘은 기본적인 가상자산(또는 코인) 용어를 정리하려고 한다.
첫 번째로 거래소에서 흔히 사용되는 '통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1. KRW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원화'를 뜻한다. 그리고 거래소에서 원화로 거래가 되는 마켓을 의마한다. 우리나라 투자자들 대부분은 원화 마켓에서 거래를 진행하기 때문에 매도 또는 매수에 크게 딜레이가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2. BTC
BTC는 비트코인으로 거래를 할 수 있는 마켓을 뜻한다. BTC 마켓은 비트코인을 기축통화로 거래를 진행하기에 반드시 비트코인의 시세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3. USDT
USDT는 달러를 기반으로 가치가 고정되어 있다. 1 USDT 당 1달러로 고정되어 있으며 시세에 변동이 있는 BTC마켓은 가치가 상승할 때 장점이 되기도 하지만 하락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다. 그와 비교할 때 USDT는 시세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4. TMETA
이전 포스팅에서도 소개된 TMETA는 토큰캔의 스테이블 코인이다. 토큰캔 거래소에서는 TMETA를 통해 다른 가상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TMETA 마켓이 활성화 되어 있다.
토큰캔은 거래의 편의, 신속한 이체, 안정적인 가치를 위해 TMETA를 탄생시켰다.
거래소는 위와 같은 대표적인 코인을 통해 거래를 진행하게 되는데, 토큰캔 거래소는 위 네 개 중에 BTC, USDT, TMETA 마켓이 활성화 되어 있어 많은 투자자에게 선택에 폭을 넓혀주고 서비스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가상자산에서는 위 거래 수단 외에도 여러 가지 용어들이 쓰이고 있다.
1. 분할 매매
분할 매매란? 말 그대로 매도와 매수를 한 번에 하지 않고 일정한 기간에 걸쳐 나누어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분할 매매는 해당되는 가상자산의 시장 가격을 크게 상승 시키거나 하락 시키지 않고 대규모로 매도하고 매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2. 래버리지
투자로부터 수익 증대를 위해 차입자본(부채)을 끌어 자산 매입에 나서는 투자 전략이다.
3. 스왑
코인에서 스왑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코인들끼리의 교환이나, 다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토큰을 자신들만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코인으로 교환하는 것을 뜻한다.
이때, 코인에서 스왑을 하거나 스왑거래가 발생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이다.
- 토큰에서 코인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는 경우
- 코인이 중대한 업데이트를 하면서 블록체인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
4. 코인과 토큰의 차이
코인과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에 따라 나눠지게 된다.
코인은 자체적으로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메인넷)를 소유한 경우 코인이라고 한다.
반대로 토큰은 자체적인 메인넷을 소유하지 않고 다른 메인넷을 통해 파생되어 탄생 되었다면 토큰이라고 한다.
5. 매수벽 또는 매도벽
주식이나 가상자산 시장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시장에서 해당하는 금액에 매수 또는 매도하기 위해 다른 가격 대비 특별히 수량이 몰려 있는 부분을 '벽'이라고 한다.
매수벽은 해당 금액에 매수 하기 위해 잡힌 물량으로 시세가 더 내려가지 않도록 대기하고 있는 두꺼운 매수층을 의미하며, 반대로 매도벽은 해당 금액에 매도하기 위해 잡힌 물량으로 시세가 더 올라가지 않도록 대기하고 있는 두꺼운 매도층을 의미한다.
6. 상장 호재
거래소에 새로운 프로젝트(종목)가 상장했을 때 그것을 호재로 보고 가격을 오르는 것을 의미한다.
7. 단기 투자 (단타, 스윙, 스캘핑)
- 단타
주식에서도 쓰이는 방법으로서 하루 이내의 여러 번 매수, 매도를 진행하는 투자 방법으로 수시로 종목의 상승 또는 하락의 흐름을 지켜봐야 하기 때문에 초보 투자자들이 접근하기엔 어려운 투자 방법이다.
- 스윙
하루~일주일 이내에 기간 동안 2~3일 정도의 기간을 두고 매수, 매도하는 방법이다.
- 스캘핑
몇 초나 몇 분 안에 매수와 매도를 반복하는 투자 방법으로 작은 이익을 목적으로 매매를 반복하는 투자 방식이다.
8. 에어드랍
가상자산 시장에서 특정 가상자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투자 비율에 따라 신규 코인이나 기존 코인을 무상으로 지급하는 것으로서, 지급 조건과 수량은 코인마다 다르다. 대부분 에어드랍을 진행할 경우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9. 스냅샷
에어드랍을 위해서 거래소에서 개인이 코인을 얼마나 소유하고 있는지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을 말한다.
10. 블록딜
매도자와 매수자 간의 합의를 통해 코인 또는 주식을 대량으로 싼값에 팔아넘기는 것으로, 블록딜이 이루어지면 보통 종목의 가격이 하락한다.
11. 스테이킹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상자산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예치시켜, 거래소 또는 예치 플랫폼에 운영, 검증에 참여하고 이에 대한 보상으로 가상자산을 받는 것으로 은행과 같이 예금 이자를 받는 것과 같다.
12. 알트코인
비트코인(BTC)를 제외한 모든 코인을 '알트코인'이라고 한다.
13. 비트코인 도미넌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전 세계 가상자산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가상자산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가지고 있는 지배력을 뜻한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에 대해 확실한 신호를 보내게 된다.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높다는 것은 비트코인의 시가 총액이 알트코인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 비트코인의 도미넌스가 낮다는 것은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이 낮아지고 있다는 신호 또는 알트코인의 평균적인 가격이 비트코인보다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늘은 가상자산을 처음 접하는 초기 투자자들을 위해 기본적인 용어들로만 포스팅하였다.
앞으로도 토큰캔 블로그는 가상자산의 모든 지식을 상세하게 다룰 것이다.
토큰캔 거래소 공식 사이트 안내:
토큰캔 공식 홈페에지:
https://www.tokencan.com/ko_KR
토큰캔 공식 커뮤니티:
https://t.me/Tokencan_kr
댓글
댓글 쓰기